본문 바로가기
ETC

불행의 원인

by 풍요로 2016. 10. 29.
반응형

 불행이 빚어지는 데는 다만 한 가지 원인이 있을 뿐입니다. 당신이 당신 머리에 주입한 그릇된 믿음들이 그것이지요. 그것들이 워낙 보편화된 기본상식인지라 당신은 그것들에 대하여 의심조차 해보지 않았을 겁니다. 바로 그 잘못된 믿음들 때문에 당신은 세상과 당신 자신을 잘못 보고 있습니다. 당신 머리에 입력된 내용이 워낙 뿌리 깊은데다가 사회의 압력 또한 만만치 않아서 세상과 당신에 대한 그릇된 인식의 올무에 그대로 갇혀 있는 거예요. 당신은 당신 생각이 잘못되었다거나 당신 믿음들이 그릇되었으리라고는 전혀 의심조차 하지 않습니다.


 당신은 당신이 속한 전통, 문화, 사회, 종교가 당신 머리에 심어놓은 가설들을 의심하거나 검토하기는 커녕 그것들을 무조건 신뢰하도록 세뇌되었습니다. 게다가 당신이 불행한 탓을 당신 머리에 들어있는 생각이나 믿음들에 돌리는 대신 자신을 꾸짖고 견책하도록 오랜 세월 훈련받았지요.


 당신을 행복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가로막는 '그릇된 믿음들'이란 무엇일까요?

 첫째, 당신은 당신에게 너무나도 소중해서 꽉 움켜잡고 있는 그것들이 없으면 행복할 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니에요, 그렇지 않습니다. 당신은 행복하기 위해서 필요한 모든 것을 소유하지 않은 적이 단 한 순간도 없습니다. 당신이 지금 행복하지 못한 이유는 당신한테 있는 것을 보지 않고 당신한테 없는 것을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당신은 행복이 미래에 있다고 생각하지요. 아닙니다, 틀렸어요. 바로 지금 여기에서 당신은 충분히 행복합니다. 다만, 당신의 그릇된 믿음들과 잘못된 생각들이 당신을 불안, 염려, 집착, 갈등, 죄의식 따위에 가두어놓은 까닭에 그래서 자기가 행복하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거예요. 이 사실을 꿰뚫어볼 때 당신은, 당신이 언제나 행복한 사람이었고 그것을 여태 모르고 살았다는 깜짝 놀랄 만한 진실에 눈을 뜰 것입니다.

 또, 당신은 당신이 처한 상황이나 주변 사람들이 바뀌면 행복할 것이라고 생각하지요. 그렇지 않습니다. 당신을 행복하게 하거나 불행하게 하는 것은 세상도 아니고 주변 사람들도 아니고 당신 머리에 담긴 생각입니다. 당신이 얻고자 하는 것이 행복이라면, 당신 대머리에 털이 나게 하거나 매력적인 육체를 가꾸거나 당신의 거처, 직장, 직업, 생활 방식, 심지어 당신의 성격조차도 그것들을 바꾸려고 애쓰지 마십시오. 당신이 그것들을 모두 바꾸고 그래서 우아한 용모와 고상한 인품과 즐겁기만 한 주변 환경을 가지게 된다 하여도 여전히 불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정말 모르십니까?

 욕망이 모두 채워지면 행복할 것이라고 당신은 생각하지요? 아닙니다. 바로 그 욕망과 집착이 당신을 긴장하게 하고 낙심하게 하고 불안하게 하고 두렵게 만드는 것입니다.


 행복이란 사람의 말로 서술될 수 있는 게 아니거든요. 태어날 때부터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에게 빛을 설명해줄 수 있겠습니까? 지금 꿈꾸고 있는 사람에게 현실을 묘사해줄 수 있겠어요? 당신이 어둠 속에 있음을 알아차리십시오. 그러면 어둠이 사라집니다. 그때 당신은 빛을 알게 될 겁니다. 당신의 그릇된 믿음들을 알아차리십시오. 그것들이 떨어져 나가고 마침내 당신은 행복을 맛볼 것입니다.


사랑으로 가는 길 p15~20



#

행.복.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찾아 다닙니다.

그런데, 그 행복은 외부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아무리 찾아보세요. 그것들이 충족되었을 때 행복하죠?

하지만 그것들이 없어지면 다시 불행해지죠?

그건 진정한 행복이 아닙니다.


사실, 우리는 모두 행복합니다.

다만, 살아오면서 자신이 받아들인, 자기도 모르게 받아들인 믿음들에 가려서 불행하다고 느끼는 것이죠.

그 믿음들을 알아차리세요. 그리고 거기에서 자유로워지세요.

그러면 구름에 가려있던 해가 나타나듯, 행복이 나타날 것입니다.


오늘은 행복한 하루가 되길 바라며...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번씩 100일간 상상하고 쓰고 외쳐라!  (0) 2016.10.31
심상화 & 시각화  (1) 2016.10.30
생생하게 그려라!  (0) 2016.10.28
명확한 목표를 가슴에 담아라!  (0) 2016.10.16
맞춤법 #008. 봬다 vs 뵈다  (1) 2016.10.08